728x90
반응형
Q. 현재 중견기업의 인사팀에 입사한 신입사원입니다. 저는 대기업인사팀에 희망하며 취업을 준비했으나 지거국의 낮은 간판과 조금은 초라한 스펙으로 대기업의 상위 계열사 인사팀에 들어가는 것이 불가능할 거라고 판단하여 중견기업의 인사팀이라도 들어가 1년의 경험 후 중고 신입으로 입사하려는 계획을 세웠는데요. 1년간 어학, 공인노무사 1차, 저의 직무경험을 바탕으로 도전해보고 싶은데 로열티를 중시하는 인사직무는 중고 신입 자체를 좋지 않게 볼까요?? 아니면 퇴사 사유를 잘 대답하고 전문성을 조금 더 갖춘다면 메리트가 될 수 있을까요?
A. 계획의 방향성은 적절해보입니다만 문제는 시도 시기입니다.
인사직무의 특수성을 감안한다면 1년 후 중고 신입은 상당히 리스크 있다고 생각됩니다.
중고 신입, 즉 신입은 결국 스펙 싸움이라서 경험보다는 스펙 비중이 더 높습니다.
신입 인사직무는 더 심하죠. 말씀하신 것처럼 1년 만에 옮기려는 시도도 안 좋게 볼 수도 있습니다.
물론 노무사가 큰 변수라 회사에 따라서는 큰 메리트로 작용할 수도 있긴 합니다.
만약 현재 다니는 중견기업 근로자수가 꽤 많고 인사업무가 고도화되어 있다면 차라리 현 직장에서 2년 이상 경력을 충분히 쌓고 그 사이에 노무사 자격증까지 취득해서 경력직으로 도전하는 게 훨씬 리스크도 적고 가능성도 높지 않나 생각되네요.
경력직 인사직무는 대리가 인기가 많은 편입니다.
판단 잘하시고 성공 이직하시기 바랍니다. 파이팅~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Q&A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Q. 초보 HR담당자에게 참고할 수 있거나, 제가 어떤 액션을 취해야 하는 것이 좋을지 조언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 2022.01.23 |
---|---|
Q. 기업마다 다를거같긴합니다만.. 보통 서류에서부터 시험, 1차면접 그리고 2차면접까지 토탈 점수를 매겨서 최종이 결정하나요? 아니면 매 단계 (0) | 2022.01.23 |
Q. 자소서에서 협업 역량에 대한 경험 작성시 (0) | 2022.01.23 |